티스토리 뷰
목차
8년 만의 동계 아시안게임! 하얼빈에서 화려하게 개막
2025년 2월 7일, 마침내 제9회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이 개막했습니다. 하지만 정규 TV 방송에서는 개막식 중계를 하지 않아서 못보시 분들이 많을텐데요. 그래서 개막식 하이라이트 정리해 보았습니다.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개막식 하이라이트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의 개막식은 하나의 스토리를 가진 웅장한 공연이었습니다.
"빙등으로 시작되는 꿈" – 개막 무대
무대가 열리자, 한 소녀가 등장했습니다.
소녀는 얼음과 눈으로 가득한 세계 속에서 자신의 꿈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시작하죠.
❄️ 눈꽃이 피어나는 얼음 호수
💡 수천 개의 불빛이 반짝이는 눈의 숲
🌬️ 바람이 휘몰아치는 설산
이 모든 장면이 증강현실(AR)과 8K 초고화질 스크린으로 구현되면서, 마치 우리도 소녀와 함께 하얼빈의 겨울 속으로 빨려 들어간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아시아 각국의 문화와 융합된 공연
소녀의 여정 속에서, 각국의 전통과 문화를 담은 공연이 펼쳐졌습니다. 이 장면들과 함께 선수단 입장 퍼레이드가 시작되었어요.
🎭 중국 – 전통 빙설제(氷雪節)를 재현한 얼음 조각 퍼포먼스
🎆 일본 – 화려한 설산 불꽃놀이를 형상화한 무대
🧧 한국 – 전통 설날 축제를 표현한 퍼레이드
🏔️ 몽골 – 설원을 배경으로 펼쳐진 유목민들의 춤과 음악
성화 점화, 모두를 숨죽이게 한 순간
개막식의 절정은 바로 성화 점화였습니다.
하얼빈의 대표적인 명소 ‘빙설대세계’에서 이루어진 이 장면은, 마치 한 편의 드라마처럼 감동적이었죠.
성화대까지 가는 길은 과거 아시안 동계대회의 역사를 상징하는 8개의 얼음 조각이 놓인 길을 따라 진행되었고, 4명의 중국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이 성화를 들고 등장했죠.
🔥 마지막 주자, 장훙(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
마지막 주자가 성화를 받아들고 천천히 걸어 나왔을 때, 경기장은 숨소리조차 들리지 않을 정도로 조용해졌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불꽃이 성화대로 옮기자, 28m 높이의 성화대가 거대한 라일락과 눈꽃 모양으로 빛을 발하며 하얼빈의 밤하늘을 밝혔습니다.
개막식의 마지막, 하얼빈의 밤을 수놓은 불꽃
성화가 점화된 뒤, 경기장 위에는 8K 초고화질 스크린을 통해 펼쳐진 가상의 오로라가 하늘을 수놓았습니다.
그리고 곧이어, 수천 발의 불꽃이 하얼빈의 밤하늘을 환상적으로 물들이며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무대에 다시 소녀가 등장하고, 눈과 얼음의 도시에서 꿈을 찾았고, 그 꿈을 아시아와 함께 나누겠다고 선언하면서 개막식이 마무리되었습니다.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대회 정보
- 대회 일정: 2025년 2월 7일 ~ 14일 (8일간)
- 개최지: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이 2월 7일 개회식을 열고 8일간의 열전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1996년 이후 29년 만에 하얼빈에서 열리는 동계 아시안게임으로, 중국이 세 번째로 개최하는 대회입니다.
🏆 대회 주요 정보
- 참가국: 34개국
- 참가 선수: 1275명
- 경기 종목: 11개 종목, 64개 금메달
- 한국 목표: 종합 2위 유지
🔥 성화 점화
- 장소: 빙설제가 열리는 ‘하얼빈 빙설대세계
- 최종 성화 주자: 중국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4명
- 특징: 28m 높이의 조형물에서 점화, 불꽃이 대형 눈꽃 회전관람차로 퍼지는 연출
이외에도 북한이 7년 만에 국제 겨울 스포츠 대회에 참가하며 다섯 번째로 입장하는 등 여러 화제가 있었습니다.
이번 대회, 어떤 점이 특별할까?
이번 대회가 더욱 흥미로운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 1. 8년 만의 동계 아시안게임
원래 2021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대회가 개최지를 찾지 못하면서 무산되었고, 코로나19까지 겹쳐 결국 2017년 삿포로 대회 이후 8년 만에 열리는 대회가 되었습니다. 오랜 기다림 끝에 다시 열리는 만큼 선수들의 열정도 대단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한국의 목표는 ‘종합 2위’
이번 대회에서 한국 선수단은 222명(선수 148명 포함)이 참가하며, 종합 2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빙상 종목에서는 여전히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에서 메달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3. 북한, 7년 만에 국제 대회 참가
또한 북한 선수단도 이번 대회에 참가해 7년 만에 국제 겨울 종합대회 무대에 복귀했습니다. 이들은 5번째 순서로 입장했으며, 북한 선수들의 활약도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4. 중국의 막대한 투자와 준비
이번 대회를 위해 중국은 경기장을 새롭게 단장했고, 동계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자원을 투입했다고 합니다.
마무리:
다시 시작하는 동계 아시안게임이 뜨거운 겨울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제 본격적인 대회가 치뤄질건데요. 우리 대표팀이 흘린 땀이 좋은 성과로 돌아오길 응원합니다.
이번 대회를 통해 동계 스포츠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아시아의 스포츠 문화가 더욱 발전하길 기대해 봅니다.